애걔 에게 애게 (에계) - 올바른 맞춤법

애걔 에게 애게 (에계)

 

안녕하세요. 제이식스입니다.

오늘은 애걔, 에게, 애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엇을 보고 실망했을 때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로

애걔? 에게? 애게? 겨우 이거야?

어떤 말이 맞는 말일까요?

 





애걔

 

대단치 않다고 업신여길 때 내는 말.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애걔, 겨우 이 음식으로 배가 차겠니? ( O )

에게, 겨우 이 음식으로 배가 차겠니? ( X )

 

애걔, 그 작은 옷장에 옷이 많이 들어가겠니? ( O )

애게, 그 작은 옷장에 옷이 많이 들어가겠니? ( X )

 

 

잘못이나 실수를 깨닫고 탄식할 때 가볍게 내는 말.

뉘우치거나 탄식할 때 가볍게 내는 소리.

 

애걔, 또 틀렸구나. ( O )

에게, 또 틀렸구나. ( X )

 

애걔, 또 속았구나. ( O )

애게, 또 속았구나. ( X )

 


비슷한 말  - 아뿔사, 에계

 

 

 

 



 

에게 애게

 

대단하지 않은 것을 보고 내는 소리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를 쓸 때 에게애게애걔를 잘못 쓰는 말로 애걔가 맞습니다. '애걔'와 비슷한 말로 '아뿔사', '에계'가 있습니다.

 


1대100이라는 퀴즈쇼 프로그램에 가수 인순이님이 출연했을 때 7단계 18명이 남은 상황에서 이에 관련된 문제가 나왔었습니다. 이 문제를 틀리면서 인순이와 남은 18명이 모두 탈락했습니다.



<KBS2 1대100 114회 인순이편>



문제 - <□, 겨우 요만큼?> 에서 □의 바른 표기는?

1. 에게 

2. 에걔

3. 에계




정답은 에계로 '에계', '애걔'가 바른 표기입니다.



 

애걔 ( O )

뉘우치거나 탄식할 때 아주 가볍게 내는 소리.

대단하지 아니한 것을 보고 업신여기어 내는 소리.

 

에계 ( O )

뉘우치거나 탄식을 할 때 내는 소리.

어떤 것이 작고 하찮거나 기대 따위에 훨씬 못 미쳐 업신여길 때 내는 소리.


애걔걔 ( O )

애걔를 잇따라 내는 소리.

 

에계계 ( O )

에계를 잇따라 내는 소리.

 


에게 ( X )

에개 ( X )

애개 ( X )

애게 ( X )





애걔와 에게, 애게 추가로 에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에게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애걔, 에계가 맞는 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