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새다 물이 세다 - 올바른 맞춤법
물이 새다 물이 세다
안녕하세요. 제이식스입니다.
오늘은 헷갈리는 ‘물이 새다, 물이 세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통에서 물이 새다? 세다?
어떤 말이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물이 새다
새다
기체, 액체 따위가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거나 나오다.
물통에서 물이 새다.
지붕에서 비가 샌다.
쌀자루에서 쌀이 새는지 바닥에 쌀이 떨어졌습니다.
빛이 물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 나거나 들다.
방에서 불빛이 새 나왔다.
빛이 새지 않도록 블라인드를 쳤습니다.
불빛이 새지 않도록 조심해라.
어떤 소리가 일정 범위에서 빠져나가거나 바깥으로 소리가 들리다.
옆방에서 도란도란 얘기하는 소리가 가끔 새어 나왔습니다.
소리가 새지 않도록 조용하게 이야기를 했다.
돈이나 재산 따위가 일정한 양에서 조금씩 부족해지거나 주인이 모르는 사이에 다른 데로 나가는 상태가 되다.
지갑에서 돈이 샌다.
이상하게 지갑의 돈이 자꾸 새는 것 같습니다.
비밀, 정보 따위가 보안이 유지되지 못하거나 몰래 밖으로 알려지다.
정보가 새어 나왔다.
기밀이 외부로 샌다.
정보가 새지 않게 주의해 주십시오.
물이 세다
물이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거나 나올 때 ‘물이 세다’는 ‘물이 새다’를 잘못 쓰는 말로 ‘물이 새다’가 맞습니다.
‘기체, 액체 따위가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거나 나오다’라는 뜻을 가진 ‘새다’를 사용합니다.
물이 틈이나 구멍으로 조금씩 빠져 나가거나 나올 때
물이 새다 ( O )
물이 세다 ( X )
세다
‘세다’는 힘이 많다, 행동하거나 밀고 나가는 기세 따위가 강하다, 물, 불, 바람 따위의 기세가 크거나 빠르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살이 세다 .
오늘은 물살이 세지 않아 수영하기 좋다.
<참고 -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다음 국어사전>
가끔 헷갈리는 ‘물이 새다’와 ‘물이 세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올바른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닫다 깨닳다 - 올바른 맞춤법 (0) | 2017.12.15 |
---|---|
백미 - 고사성어 (0) | 2017.12.13 |
꼴값 꼴갑 - 올바른 맞춤법 (2) | 2017.12.05 |
기품 귀품 - 올바른 맞춤법 (0) | 2017.11.30 |
아지랑이 아지랭이 - 올바른 맞춤법 (0) | 2017.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