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옹지마 세옹지마 - 올바른 맞춤법

새옹지마 세옹지마

 

안녕하세요. 제이식스입니다.

오늘은 새옹지마와 세옹지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사성어인 새옹지마? 세옹지마?

어떤 말이 맞는 말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어서 기뻐했지만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세상일의 좋고 나쁨을 미리 예측할 수 없다.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더니 일이 이렇게 풀리는구나.

 

인간사 새옹지마이다.

 

 

 

 

 

 

 

세옹지마

 

세옹지마새옹지마를 잘못 쓰는 말로 새옹지마가 맞습니다.


새옹지마 ( O )

세옹지마 ( X )

 

변방 새 늙은이 옹 갈 지 말 마

 

옛날에 어느 노인이 살았습니다. 그 노인은 기르던 말이 있었는데 도망을 가서 슬퍼했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그 노인을 위로하자 노인은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 라고 말했습니다.

 

어느 날 도망쳤던 말이 다른 말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노인을 축하했습니다. 노인은 이 일이 오히려 화가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 라고 말했습니다.

 

노인의 아들이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를 다치고 말았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노인을 위로해주었습니다. 노인은 이 일이 혹시 복이 될지 누가 알겠습니까?” 라고 말했습니다.

 

이후 전쟁이 나서 마을의 젊은이들은 모두 전쟁에 나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다쳤기 때문에 전쟁에 나가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세상일의 좋고 나쁨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좋은 일이 생겼다고 자만하지 말고, 불행한 일이 생겼다고 낙심할 것도 없습니다.

 


<참고 - 국립국어원 - 표준국어대사전, 다음 국어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새옹지마와 세옹지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