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카르두 콰레스마 (Ricardo Quaresma) - 축구 선수

히카르두 콰레스마 (Ricardo Quaresma)



 

히카르두 안드라드 쿠아레즈마 베르나르두 (Ricardo Andrade Quaresma Bernardo)

 

175cm, 67kg 주발오른발


호날두의 스승?

콰레스마는 1983926일 포르투갈(Portugal) 리스본(영어: Lisbon 포르투갈어: Lisboa 리스보아)에서 태어났습니다. 스포르팅 CP (Sporting CP) 유스에서 실력을 키우면서 2001년프로로 데뷔해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스포르팅 시전 기록은 7210골로 제2의 루이스 피구 (Luis Figo)라는 말을 들을 만큼 기대주였습니다. 이 시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Cristiano Ronaldo) 선수와 함께 선수 생활을 하면서 호날두의 스승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두 선수 모두 개인기가 화려하고 뛰어나서 플레이가 닮은 부분이 많아 나온 말인 듯 한데 이는 확인된 사실은 아닙니다.

 

콰레스마는 2003년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FC 바르셀로나 (FC Barcelona)로 이적하게 됩니다. 외계인 호나우지뉴 (Ronaldinho) 선수의 장기 대체자로 생각되어 큰 기대를 받지만 28경기 한골로 적응에 실패하며 안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콰레스마의 전성기 시절

바르셀로나에서 한 시즌만을 보낸 후 2004년 포르투갈의 명문 클럽인 FC 포르투 (FC Porto)로 이적했습니다. 이적료는 1500만 유로 + 콰레스마 = 데쿠(Deco | Anderson Luiz de Sousa) 였습니다. 당시 포르투가 원했던 이적료는 2500만 유로로 결국 콰레스마의 가치는 1000만 유로(2016년 기준 약 130)정도의 가치였던 셈입니다. 포르투로 이적 한 콰레스마는 다시 한번 자신의 실력을 보여줍니다. 포르투 데뷔 시즌부터 뛰어난 활약을 보이 시작했고 2006-07 시즌에는 최우수 선수로 뽑혔습니다. 포르투에서 4시즌 158경기 31골을 기록하며 이적 첫 시즌을 제외한 3시즌 모두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데 공헌했습니다.

 

 

 

 

2008년 무리뉴 감독이 새롭게 부임하는 이탈리아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FC Internazionale Milano)로 이적합니다. 즉시 전력감을 선호하는 무리뉴 감독에게 기대를 받으며 인터밀란으로 이적했지만 19경기 0골로 최악의 영입이라고 평가 받으며 주전경쟁에서 밀렸고 2009년 첼시로 임대를 떠납니다.

 

당시 첼시의 감독은 전 포르투갈 감독이었던 루이스 스콜라리 감독이었습니다. 콰레스마는 스콜라리 감독 밑에서 부활을 꿈꾸지만 부상까지 겹치는 등 부진하면서 인터밀란으로 복귀합니다. 인터밀란에 복귀해서도 자리를 찾지 못한 콰레스마는 터키의 베식타쉬 JK (Beşiktaş JK)로 이적했습니다.

 


2010년 터키의 베식타쉬(베식타스)로 이적한 콰레스마는 주장 역할을 맡으면서 준수한 활약을 펼칩니다. 베식타쉬(베식타스)에서 2010-12 2시즌 57경기 14골을 기록하며 활약했지만 2012-13시즌 부상과 부진을 겪으면서 20131월 아랍에미리트의 알 아흘리로 이적했습니다. 알 아흘리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방출을 당하게 됩니다.

2014년 선수 생활에서 좋은 기억이 많은 FC 포르투로 다시 돌아갑니다. 포르투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바이에른 뮌헨 전에서 멀티 골을 기록하는 등 활약하고 2015년 다시 터키의 베식타쉬(베식타스)로 이적합니다. 복귀한 베식타쉬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이며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웃프런트 킥의 달인

콰레스마는 주로 측면 공격수로 활약하며 개인기가 뛰어납니다. 인터넷 상에는 그의 뛰어난 개인기가 담겨있는 UCC들이 많습니다. 페인트 동작, 방향전환이 뛰어나 1:1 돌파에 능합니다. 콰레스마는 아웃프런트 킥의 달인으로 유명합니다. 발의 바깥부분을 이용해 상대방이 예측할 수 없는 슛, 크로스, 패스가 뛰어납니다.

 

유로2016 포르투갈 대표팀으로 8강전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연장전에서 결승골을 터뜨리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