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간 마굿간 -올바른 맞춤법

마구간 마굿간

 

마구간? 마굿간? 에 말 한 마리가 있습니다.

헷갈리는 마구간마굿간

어떤 말이 표준어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마구간

 

말을 기르는 곳.

 


마구간에 말 한 마리가 있습니다.

 

마구간에 거름을 재웠다.

 

그는 마구간에서 정성스레 말털을 빗겨 주고 있었습니다.

 

마구간에 말 세 마리가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

 

마구간에는 말들이 줄줄이 매어져 있었다.

 

 



마굿간

 

'말을 기르는 곳'의 뜻으로 쓰이는 '마굿간'은 '마구간'이 표준어입니다.




말 마

마구간 구

사이 간

 

마구 +

 

마구간은 한자어 마구(馬廏)’()’이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한자어와 한자어의 합성어에서는 예외를 제외하고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예외 -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

 

한글 맞춤법

4장 형태에 관한 것

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 앞에서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마구간 ( O )


마굿간 ( X )

 

 


<참고 -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사전, 온라인가나다, 한글 맞춤법, 한자 사전>

 

 


헷갈리는 마구간마굿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