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 마속

삼국지 마속 (190~ 228)

 

마속은 형주 양양군 의성현 출신으로 자는 유상(幼常)입니다. 백미 마량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유비를 따르게 됩니다. 마속은 젊은 나이에 형주종사로 임명되었고 유비를 따라 익주로 들어간 후 면죽현령, 성도현령, 월준태수를 역임했습니다.

 

제갈량은 재주와 기량이 뛰어나고 군략을 논하는 것을 좋아하는 마속을 빼어나게 여기며 아꼈습니다.

 


유비의 평가

유비는 세상을 떠나기 전 제갈량에게 마속에 대해 얘기했습니다.


유비 마속은 말은 잘하지만 말이 그 실제를 과장하니 크게 기용할 수 없소. 그대가 이를 살펴보시오


하지만 제갈량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며 마속을 참군으로 삼고 밤낮으로 대화를 나누며 그를 신임했습니다.

 



남만 정벌의 조언

225년 제갈량이 남중을 정벌하러 갈 때 마속이 수십 리를 나와 배웅하며 조언했습니다.


마속 남중은 멀고 험한 것을 믿고 불복한지 오래되었습니다. 오늘 격파하더라도 내일 다시 불복할 것입니다. 그들은 이후 북벌을 할 때 문제가 될 것입니다. 무리들을 모두 없애 후환을 없애고자 한다면 그것은 어진 자의 마음이 아닙니다. 무릇 용병의 도에서는 마음을 공격하는 것을 상책으로 삼고 성을 공격하는 것을 하책으로 삼으며, 마음으로 싸우는 것을 상책으로 삼고 병사로 싸우는 것을 하책으로 여기니 공께서는 그들의 마음을 얻으십시오.”

 

제갈량은 마속의 조언을 받아들여 맹획을 용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맹획의 마음을 얻어냈습니다. 제갈량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남방은 편안했습니다.

 



가정 전투

227년 제갈량은 1차 북벌을 시작했고 천수, 안정, 남안 3군을 성공적으로 점거하며 순조로운 모습을 보였습니다.

228년 제갈량은 조운과 등지가 위나라의 주력을 기곡으로 유인하는 동안 본대가 기산 방면으로 나가 옹주 서부를 차지하고 협공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장수들은 노련한 장수인 위연이나 오의를 추전했지만, 제갈량은 마속에게 왕평, 장휴, 황습, 이성 등을 부장으로 배치하며 가정의 수비를 맡겼습니다.

 

마속은 가정에서 제갈량의 지시와는 다르게 물을 유념하지 않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공격하는 유리한 점만 생각하며 산으로 올라가 진을 꾸렸습니다. 부장 왕평이 이를 거듭해서 말렸지만 마속은 말을 듣지 않았습니다.

 

위나라의 장수 장합은 마속군이 물을 길어 나르는 길과 보급로를 끊었습니다. 산위에 고립된 마속군은 결국 장합군에게 크게 패하고 말았습니다. 큰 위기 속에서 왕평은 휘하의 군사 1천과 함께 북을 치며 자리를 지켰고 장합은 매복을 염려하며 쉽게 접근하지 않았습니다. 왕평은 그 사이에 흩어진 군사를 거두어 퇴각했습니다.

 

가정 전투의 대패로 제갈량은 한중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읍참마속 (휘루참마속)

제갈량은 형제와 같이 친한 사이였던 마량의 동생이며, 재주와 기량이 뛰어난 마속을 아꼈지만 법에 따라 그를 처벌했습니다.

 

마속은 마지막으로 제갈량에게 글을 보냈습니다.

마속 명공께서는 저를 자식처럼 보아주시고, 저도 명공을 아버지처럼 보았으니, 원컨대 오직 곤을 죽여 우를 흥하게 했던 의리를 깊게 하시고, 여기에서 평생의 교류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저는 죽더라도 황천에서 한이 없을 것입니다.”

 

제갈량은 직접 마속의 제사에 임했고 그의 자식들을 평생 돌보아 주겠다고 했습니다.

 

장완이 천하가 아직 평정되지 않았는데 지모 있는 선비를 죽이는 것이 후회되지 않겠냐고 묻자 제갈량이 답했습니다.

제갈량 손무가 능히 천하에서 제압하여 승리했던 까닭은 법을 운용하는데 밝았기 때문이오. 양간이 법을 어지럽히자 위강이 그의 노복을 죽였소. 사해가 분열되고 군대의 교전이 이제 막 시작되었는데 만약 다시 법을 폐한다면 무얼 써서 적을 토벌하겠소?”

 


읍참마속은 삼국지 관련 고사성어로 사랑하는 신하를 법대로 처단하여 질서를 바로잡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읍참마속(泣斬馬謖) 눈물을 머금고 마속을 베다.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 눈물을 뿌리며(흘리며) 마속을 베다.

 



처형에 대한 다른 견해

마속의 처벌에 대해 패전한 장수가 처형이라는 극단적인 처벌을 받는 경우는 드물다는 점을 생각한 다른 견해도 있습니다. 상랑전에 따르면 마속이 가정에서 패해 도주했을 때 그를 잡지 않아서 파직되어 성도로 보내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만약 마속이 가정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주하려고 하다가 잡혔다면, 마속은 패전한 장수에 도주라는 죄가 더해져 처형을 당한 것이 됩니다.

 



삼국지연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마속은 정사에서의 모습과 비슷하게 등장합니다. 제갈량이 남정을 준비할 무렵 상복을 입고 사자로 와서 자신의 형 마량의 죽음을 알립니다. 제갈량에게 합류한 후 남정에서 공을 세웁니다.

제갈량의 1차 북벌 전 거짓 소문을 퍼뜨려 사마의가 실각되게 합니다.


이후 과실이 있으면 가문이 참수당하겠다는 각서를 쓰고 가정 전투에 참여하게 되고, 왕평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공격하는 이점만을 생각하고 급로가 끊어지면 아군이 목숨을 버리고 싸울 것이라며 산 위에 진을 칩니다. 결국 가정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게 되고 그 책임을 져 처형당해 세상을 떠납니다.

 

'삼국지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 마대  (0) 2017.08.11
삼국지 - 왕평  (0) 2017.08.08
삼국지 손씨 (육손의 아내)  (0) 2017.07.28
삼국지 - 마막, 이씨  (0) 2017.07.25
삼국지 - 왕도, 왕열  (0) 2017.07.20

+ Recent posts